YAML Ain't Markup Language
쉽게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직렬화 양식으로 설정, 데이터 저장소 등 여러곳에 사용 된다고 하며,
나무위키 (꺼무위키..? 저는 좋아합니다.) 에서는 JSON 포맷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key와 value로 구문되며, 들여쓰기로 구분된다.
key: value
배열의 경우 하이픈(-)으로 표시
key:
- value1
- value2
객체는 콜론(:)으로 표시
(중간 #의 경우 주석을 표현한다.)
person:
name: Bart
# ㅋㅋㅋ
height: 185
yaml lint로 문법 검사
YAMLlint - The YAML Validator
www.yamllint.com
다음엔 설정들을 바로 사용하기 위한, github actions의 yaml을 알아봐야겠다.
https://docs.github.com/ko/actions/using-workflows/workflow-syntax-for-github-actions
GitHub Actions에 대한 워크플로 구문 - GitHub Docs
워크플로는 하나 이상의 작업으로 구성된 구성 가능한 자동화된 프로세스입니다. 워크플로 구성을 정의하려면 YAML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docs.github.com
728x90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rebase real-time database를 rest api로 사용하기 (0) | 2022.08.20 |
---|---|
firebase real-time database v9 (0) | 2022.07.24 |
this 키워드 (0) | 2021.05.30 |
함수와 매개변수 (0) | 2021.05.24 |
반복문 (0) | 2021.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