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집중해야 하는 5가지 애플리케이션 영역.
1. 사용자 페르소나
- 유사한 속성을 지닌 최종 사용자 집합을 나타내는데, 페르소나는 프로젝트 시작 단계에 생성되며, 소프트웨어 설계부터 배포까지 모든 단계에 걸쳐 페르소나의 요구 사항이 반영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이 대상으로 하는 페르소나를 알아야하고, 이해하고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 탐색해야 한다.
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화려한 사용자 경험과, 명확하고 사용하기 쉬운 경험을 기대
2. 도메인
- 교통, 건강과 같은 도메인을 각각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메인에 맞는 워크플로, 프로세스, 전문용어를 배워야 한다. 이커머스에서 제품 주문에 장바구니 담기, 주문 확인, 주문 승인과 같은 미리 정의된 워크플로우를 거치며, 기본적인 도메인 지식 없이 이러한 전체 과정을 탐색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도메인을 잘 이해한 상태로 탐색적 테스트를 진행해야 한다.
3. 비지니스 우선순위
- 기존 솔루션에 확장성을 더하는 상황일 경우, UI에서 기능적인 사용자 흐름을 테스트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기에, 비지니싀 최우선 목표에 따라 '플랫폼' 관점에서 탐색해야 한다.
4. 인프라 구성
- 애플리케이션 구성 요소가 어디에 배포되고 어떻게 구성되는지 아는 것은 새로운 관점에서 탐색적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5.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 아키텍쳐를 파악하면 다양한 경로를 통할 수 있는데, 웹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 UI와 함께 API 테스트를 수행해야 한다. 아키텍처를 잘 이해하면 내부 구성 요소 통합, 구성 요소 간 데이터 흐름, 에러 처리 측면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 풀스택 테스트 2장 내용 중
요즘 건강 앱에 대한 도메인 이해도가 높지 않다보니, 도메인 이해도를 높이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거 같다.
새로운 도메인의 시도는 흥미롭지만, 언제나 어려운 듯.

'QA'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st Case (0) | 2024.05.05 |
---|---|
권한 (0) | 2023.09.07 |
2장. 수동 탐색적 테스트 (0) | 2023.07.21 |
1장. 10가지 풀스택 테스트 (0) | 2023.07.20 |
1장. 시프트 레프트 테스트 (0) | 2023.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