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재배와 재배 지역
1. 커피 벨트(Coffee Belt), 커피 존(Coffee zone): 적도를 중심으로 남위 25도에서 북위 25 사이의 열대・아열대 지역에 속하는 커피 재배 지역
2. 커피 재배에 적합한 대기 습도 수준은 아라비카 종이 60%, 로부스타 종이 70~75%
3. 커피 일조량: 하루 6~6.5시간 정도의 일조량, 연간 일조량이 2,200~2,400시간 정도, 그늘을 만들어 주기 위해 셰이드 트리(Shade tree)를 커피나무와 함께 심기도 함
4. 선 커피(Sun Coffee): 셰이딩을 하지 않고 대량으로 재배하여 생상된 커피
- 셰이드 트리(Shade tree): 그늘재배를 위해 심는 나무
- 그늘재배(Shading): 커피나무에 강한 햇볓과 열을 차단해주기 위해 다른 나무를 커피나무 주위에 심어 재배하는 방식
5. 커피의 번식 방법: 묘포에서 묘목을 기르고 어느정도 자라면 재배지에 이식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
6. 커피나무의 개화: 나무를 심고 2~3년 정도 지나면 시작, 개화 기간은 2~3일 정도
- 커피나무의 수분: 바람에 의한 수분 90%, 곤충에 의한 수분 10%
7. 지속가능 커피(Sustainable coffee): 커피 재배 농가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수질과 토양,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으로 커피를 생산하도록 도와주는 것
지속 가능 커피 인증: 유기농 커피(Organic coffee), 공정무역 커피(Fair-tread coffee), 버드 프렌들리 커피(Bird-friendly coffee)
8.CoE(Cup of Excellence): 품질 높은 커피를 생산하는 나라들은 제대로 된 보상을 받고 소비자는 질 좋은 커피를 구매할 수 있는 시스템, 참가국의 커피를 국제 심사위원들이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위 등급을 받은 커피들은 경매를 통해 회원들에게 판매
9. 파치먼트 파종: 커피의 파종은 파치먼트를 묘판에 심어 파종 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
10. 커피 재배 토양
- 테라 록사(Terra roxa): 브라질의 커피 재배지역에서 볼 수 있는 현무암과 휘록암이 풍화된 토양
- 테라 로사(Terra rossa): 석회암이 풍화되어 형성된 적색 토양
- 레구르 토(Regru soil): 현무암이 풍화되어 형성된 흑색 모양
11. 커피 녹병(Coffee Leaf Rust): 커피 녹병에 걸리면 수확량이 감소하고 성장이 방해되어 나무가 죽을 수 있으며, 현재까지 알려진 커피나무 질병 중 가장 치명적인 질병